OAuth 2.0
1. 들어가며
이 글은 아래의 순서로 진행됩니다.
Oauth의 개념
OAuth 2.0 의 필요성
OAuth 2.0 Roles & Protocol 흐름
OAuth 2.0
많이 들어봤지만 생소하기도 하고… 하지만 생각보다 우리는 OAuth 2.0
를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럼 이제 OAuth 2.0
이 무엇인지 같이 천천히 알아가봐요.
2. OAuth의 개념
전 모르는 용어가 나오면 full name을 먼저 검색을 해보는 편인데요.
OAuth
는 Open Authorization의 약자라고 합니다.
위키에 기록된 OAuth
의 정의는 아래와 같습니다.
OAuth
는 인터넷 사용자들이 비밀번호를 제공하지 않고 다른 웹사이트 상의 자신들의 정보에 대해 웹사이트나 애플리케이션의 접근 권한을 부여할 수 있는 공통적인 수단으로서 사용되는, 접근 위임을 위한 개방형 표준이다.
흠.. 뭔가 확 와닿지가 않습니다.
즉, 애플리케이션의 유저 비밀번호를 third-party 에 제공하지 않으면서 인증 및 권한부여를 관리해주는 오픈형 프로토콜이라고 생각하시면 돼요!
예를 들어서 쇼핑몰이나 naver band, notion 등등에 접속할 때 구글이나 페이스북으로 로그인할 수 있는 것처럼 별도의 정보 제공없이 로그인을 제공하는 플랫폼의 아이디만 있으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해주는 게 바로 OAuth
에요.
3. OAuth 2.0
의 필요성 (탄생 배경과 역사)
그럼 우리는 왜 OAuth 2.0
을 사용하는 걸까요?
그건 OAuth
의 탄생 배경과 역사에 대해 알아보면 쉽게 알 수 있어요.
웹이 성장하면서 많은 사이트들이 분산 서비스에 의존하게 되고, third-party 애플리케이션들은 다양한 서비스들의 API 를 활용하게 되었는데요.
이를 위해선 인증이라는 절차를 거쳐야하겠죠.
다른 사이트로부터 인증 기반의 데이터를 연동하긴 해야하는데 어떻게 하지..
3-1. 그럼 OAuth
가 나오기 전엔 어떻게 인증을 했을까요?
OAuth
가 나오기 전엔 외부사이트와 인증 기반의 데이터를 연동할 때 인증 방식의 표준이 없었기 때문에 기존의 기본인증 방식인 ID/Password를 사용했어요.
다른 사이트로부터 인증 기반의 데이터를 연동하긴 해야하는데 어떻게 하지..-→ 일단 ID/Password로 해결!
즉, 다른 사이트의 사용자 데이터에 접근할 때 사용자 ID와 Password를 요청한 후 해당 정보로 인증을 하는 구조였던거죠.
이 방식은 유저의 Password가 노출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이는 보안상 매우 취약한 구조였어요.
또한, 유저 정보를 얻은 third-party 애플리케이션은 해당 사이트의 모든 접근 권한을 갖게 되어 어느 서비스에도 접근할 수 있게 되고, 이 third-party 애플리케이션이 Password를 변경하기라도 한다면 사용자는 사이트 이용이 불가하게 되는 최악의 상황까지 발생할 수 있게 되죠.
기본인증 방식인 ID/Password 방식이 아닐 경우엔 각자의 개발한 회사의 방법대로 사용자 인증을 하였는데 그러다보니 인증방식이 너무 제각각이 되어버렸어요.
좀 더 안전하면서도 사용자 인증 (Authentication)과 권한 제어 (Authorization)까지 할 수 있는 표준화된 인증방식이 필요해……..
3-2. OAuth 1.0a
탄생
2006년 11월 트위터는 OpenID 를 탑재하는 작업을 하고 있었고, 같은 시기에 한 소셜 북마크 사이트에서도 OpenID를 사용한 인증 방법을 필요로 하고 있었어요.
OpenID(Click!)
하여 각 회사의 4명의 웹 개발자가 만나 OpenID를 활용한 API로 인증 및 권한 부여를 동시에 제공하는 인증 프로토콜을 찾다가 결국 적당한 것이 없다고 결론을 내리고 만든 것이 OAuth 1.0
이에요.
2007년 10월에 OAuth core 1.0 이 비공식 발표는 되었지만 나중에 세션 고정 공격 보안 결함이 발견되어서 이 문제가 개선된 OAuth 1.0a
가 2009년 6월에 발표되었고, 이후 2010년 4월에 “The OAuth 1.0 Protocol”이라는 이름으로 RFC 5849 문서 번호를 부여받았어요.
(RFC 표준 이름에는 1.0뒤에 “a”가 붙지 않지만 좀 더 명확히 하기 위해 OAuth 1.0a
라고 불리고 있어요)
OAuth 1.0a
는 기존의 인증방식이 갖고 있던 문제점들을 보완하기 위해 OAuth 의 인증을 API 를 제공하는 서버에서 진행하고, 유저가 인증되었다는 Access Token
을 발급하여 그 발급된 Access Token을 이용해서 third-party 애플리케이션에서 자원을 이용하는 방식으로 진행되는 방식이에요.
(OAuth 1.0a
의 자세한 내용은 The OAuth 1.0 Protocol RFC 5849를 참고해주세요)
OAuth 1.0a
은 API 를 인증함에 있어 third-party 애플리케이션에게 유저 Password 를 노출하지 않고 인증을 한다는 부분과 인증과 권한 부여를 동시에 할 수 있다는 부분에서 기존 인증방식의 부족한 점을 보완하기에 충분한 듯 보였어요.
좀 더 안전하면서도 사용자 인증 (Authentication)과 권한 제어 (Authorization)까지 할 수 있는 표준화된 인증방식이 필요해……..→ 기존의 인증방식 문제점 해결!
하지만…
모바일에서도 쉽게 사용하고 싶어…
Signature 개발하고 관리하는데 시간이 너무 오래 걸려… 다른 거 개발할 시간도 없다구요!! ㅠㅠ
기능은 단순화하고 규모는 확장하고 싶은데 너무 복잡해..
3-3. OAuth 2.0
탄생
2012년 10월에 드디어 이런 문제점을 보완한 OAuth 2.0 발표!
OAuth 2.0
에서 크게 달라진 점은 아래와 같습니다.
- 디지털 서명이 아닌 HTTPS 사용
- Access Token 의 만료 기간이 생김
- 더 많은 인증 방법(Grant types)을 지원 → Implicit Grant 를 사용해 모바일에서도 쉽게 사용 가능!
OAuth 1.0a
에서는 HTTPS 가 필수가 아니었기 때문에 API 를 호출할 때 Signature 를 생성해서 호출해야했지만 OAuth 2.0
는 암호화를 HTTPS에 맡김으로써 개발자의 수고를 덜어주고 있어요.
또한 다양한 인증 방식을 통해 웹/모바일 등 다양한 시나리오에 대해 고려되었어요.
모바일에서도 쉽게 사용하고 싶어…
Signature 개발하고 관리하는데 시간이 너무 오래 걸려… 다른 거 개발할 시간도 없다구요!! ㅠㅠ
기능은 단순화하고 규모는 확장하고 싶은데 너무 복잡해..→
OAuth 1.0a
문제점 해결!
4. OAuth2.0
의 흐름
OAuth 2.0
은 아래 4가지로 구성이 됩니다.
- Resource Owner (자원 소유자)
- User, 즉 사용자
- 이미 google, facebook 등에 가입된 유저로 Resource Server 의 Resource Owner
- Resource Server (보호 자원)
- 자원을 호스팅하는 서버
- google, facebook, Naver 등 OAuth 제공자
- Client (애플리케이션)
- 리소스 서버에서 제공하는 자원을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
- Naver band, Notion 등등
- Authorization Server (인증 서버)
- 사용자 동의를 받아서 권한을 부여 및 관리하는 서버
6. 끝마치며
사실 관리하던 시스템에 OAuth 2.0
을 도입하면서 왜 2.0이지? 이전 버전에 어떤 문제가 있던 거지? 이전 버전이랑 호환은 되는 건가? 등등 궁금한 점이 많았지만 시간이 없다는 핑계로 알아보지 못하고 넘어갔었는데 이번 기회에 묵혀놨던 숙제 하나를 해결하여 속이 시원합니다. ^^
출처 및 참고
- OAuth wiki
- The OAuth 2.0 Authorization Framework (RFC 6749)
- OAuth 2.0 - Open API 인증을 위한 만능 도구상자
- OAuth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