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 Boot - HTTP, Spring Web MVC 프레임워크, REST-API


이 포스트에서는 Spring 웹 MVC 프레임워크 내부 동작과 프레임워크에서 제공하는 컴포넌트 Spring bean 들에 대해 알아본다. 이후 간단한 REST-API 애플리케이션을 만들어본다.

  • HTTP 프로토콜
  • DispatcherServlet 을 포함한 Spring MVC 프레임워크 내부 구조
  • REST-API 애플리케이션 구축

소스는 github 에 있습니다.


목차


개발 환경

  • 언어: java
  • Spring Boot ver: 3.1.0
  • IDE: intelliJ
  • SDK: JDK 17
  • 의존성 관리툴: Maven
  • Group: com.assu.study
  • Artifact: chap04

pom.xml

<?xml version="1.0" encoding="UTF-8"?>
<project xmlns="http://maven.apache.org/POM/4.0.0" xmlns:xsi="http://www.w3.org/2001/XMLSchema-instance"
         xsi:schemaLocation="http://maven.apache.org/POM/4.0.0 https://maven.apache.org/xsd/maven-4.0.0.xsd">
  <modelVersion>4.0.0</modelVersion>

  <parent>
    <groupId>com.assu</groupId>
    <artifactId>study</artifactId>
    <version>1.1.0</version>
  </parent>

  <artifactId>chap04</artifactId>

</project>

1. HTTP 프로토콜

// request line
GET /test.html HTTP/1.1

// header
Host: www.testme.com
Accept: text/html // 클라이언트에서 처리할 수 있는 콘텐츠 타임을 서버에 알려줌

HTTP Response 메시지

// status line
HTTP 1.1 200 OK

// header
Content-type: text/html // body 에 포함된 데이터가 어떤 종류의 컨텐츠인지 클라이언트에 알려줌
Content-length: 12345

// message body
<html>
...
</html>

HTTP 버전은 아래와 같다.

  • HTTP/1.0
    • 기본적으로 사용되는 버전
  • HTTP/1.1
    • keep-alive 와 파이프 라이닝 기능 제공, chunk 응답 제공
  • HTTP/2.0
    • 구글이 만든 SPDY 프로토콜 채용
    • 요청과 응답에 멀티 플렉싱 기능 제공

HTTP 특징은 비연결성, 무상태 두 가지가 있다.

HTTP/1.1 의 keep-alive 기능에 대한 좀 더 상세한 내용은 1.6.2. keep-alive 설정 를 참고하세요.


비연결성

HTTP 프로토콜이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에 커넥션을 유지할 필요 없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HTTP 프로토콜은 TCP 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기 때문에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에 커넥션이 필요한데 이 TCP 커넥션을 생성하려면 3-way-handshake 과정을 거쳐야 한다. 그리고 이 3-way-handshake 는 시간과 리소스가 많이 사용되는 과정이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커넥션 맺는 비용을 줄이고자 일정 시간 커넥션을 유지하는 keep-alive 스펙이 HTTP/1.1 에 추가되었지만 기본적으로 클라이언트가 서버와 통신하기 위해선 매번 새로운 커넥션을 맺어야 한다.

커넥션이 유지되는 프로토콜이라면 클라이언트의 모든 요청이 한 서버로 전송되는데 이 때 이 서버가 모두 처리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한다. 즉, 서비스에 포함된 모든 서버가 균등한 양의 일을 처리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 서버에 부하가 집중될 수 있다. 하지만 HTTP 프로토콜의 비연결성 특징 덕분에 메시지 전송 시 매번 커넥션을 맺으므로 L4 or L7 과 같은 로드 밸런서가 있다면 모든 서버가 균등하게 요청을 처리할 수 있으며, 쉽게 scale-in/out 할 수 있다.


무상태

HTTP 프로토콜은 커넥션을 유지하지 않기 때문에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여러 번 요청해도 각 요청이 독립적으로 처리된다.

그래서 서버 사이에 데이터를 공유하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지만 이전 상태를 기억해야 하는 인가, 인증의 경우 문제가 될 수 있다. HTTP 프로토콜은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쿠키, 세션에 대한 스펙을 제공한다.


1.1. HTTP 상태 코드

HTTP 응답 상태를 크게 5가지로 구분한다.

  • 1XX
    • 임시 응답을 의미
    • 클라이언트의 요청은 성공적으로 받았으며, 서버의 프로세스는 계속해서 작업
    • 보통 현 상태의 정보를 응답하는데 사용
  • 2XX
    • 성공을 의미
    • 클라이언트의 요청도 성공적으로 받았으며, 서버의 프로세스도 정상적으로 처리함
    • 200 OK, 201 Created (데이터를 성공적으로 생성), 202 Accepted 가 많이 사용됨
  • 3XX
    • 클라이언트 요청을 완전히 처리하는데 추가적인 작업이 필요함을 의미
    • 일반적을로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리소스가 다른 위치로 옮겨져서 클라이언트가 새로운 리소스를 다시 요청해야 하는 경우
    • 대표적으로 302 Found 가 있으며, 이 때 서버는 새로운 URL 경로를 포함하는 Location 헤더를 함께 응답하고, 클라이언트는 이 헤더를 파싱하여 새로운 URL 로 재요청 (=리다이렉션)
      (클라이언트가 이 작업을 처리함)
  • 4XX
    • 클라이언트의 요청한 메시지에 에러가 있음을 의미
    • 400 Bad Request (메시지 문법 오류), 401 Unauthorized/403 Forbidden (인증/인가되지 않은 리소스에 요청), 404 Not Found 가 많이 사용됨
  • 5XX
    •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처리하는 도중 서버가 정상 처리하지 못함을 의미
    • 500 Internal Server Error 가 대표적임

2. Spring 웹 MVC 프레임워크

Servlet 은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주고받는 서버용 프로그래밍 스펙을 말한다.

Servlet 은 javax.servlet.Servlet 인터페이스 형태로 Java API 에서 제공하여, 이를 구현한 클래스를 Servlet or Servlet 애플리케이션 이라고 한다.

Servlet 애플리케이션들을 관리하는 서버를 Servlet 컨테이너 or WAS 라고 한다.

J2EE 의 Servlet 스펙을 구현한 WAS 는 Tomcat, Jetty, Undertow 등이 있다.

J2EE 스펙을 사용하여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시 Servlet 스펙을 따라야하기 때문에 위 개념 정도는 알아두는 것이 좋을 듯 하다.

  • Servlet 3.0
    • asynchronous Servlet 기능 지원
  • Servlet 3.1
    • non-blocking 방식의 IO 기능 지원
  • Servlet 4.0
    • HTTP 2.0 기반의 기능 지원

HTTP 요청과 응답의 처리는 Servlet 애플리케이션은 web.xml 설정 파일에 Servlet 정보를 작성하고, Tomcat 이 실행할 때 이를 읽어서 Servlet 애플리케이션을 로딩하는 방식이다.

브라우저는 HTTP 프로토콜 스펙에 따라 요청 → 이를 Servlet 컨테이너 역할을 하는 WAS 의 한 종류인 Tomcat 이 처리 → Tomcat 은 HTTP 요청에 적절한 Servlet 애플리케이션 실행

Servlet 애플리케이션 내부에선 HttpServletRequest, HttpServletResponse 객체를 이용하여 요청과 응답을 처리한다.


2.1. DispatcherServlet

DispatcherServlet 은 Front Controller Pattern 으로 디자인되어 있다. 따라서 모든 요청과 응답은 DispatcherServlet 에서 처리된다.

Front Controller Pattern
가장 앞 쪽에서 모든 요청과 응답을 처리하는 패턴, 웹 애플리케이션의 전체 흐름 조정
모든 요청과 응답에 대해 공통 기능을 일괄적으로 쉽게 추가 가능하기 때문에 인증, 인가도 쉽게 구현 가능
Front Controller Pattern 덕분에 인증, 인가를 위한 Spring Security 프레임워크도 애플리케이션에 쉽게 적용 가능

Spring MVC

① 모든 HTTP 요청은 DispatcherServlet 이 받아서 처리
② DispatcherServlet 은 요청 메시지의 request line, header 파악하여 어떤 컨트롤러의 어떤 메서드로 전달할지 HandlerMapping 컴포넌트의 메서드를 사용하여 확인
③ DispatcherServlet 은 위에서 확인한 클래스에 HTTP 요청 메시지를 전달 역할을 하는 HandlerAdapter 에 HTTP 요청 메시지 전달
④ HandlerAdapter 는 컨트롤러에 요청 전달
⑤ 비즈니스 로직 수행
⑥ HandlerAdapter 는 처리할 뷰와 뷰에 매핑할 데이터를 ModelAndView 객체에 포함하여 DispatcherServlet 에 전달
⑦ DispatcherServlet 은 처리할 뷰 정보를 ViewResolver 에 확인
⑧ DispatcherServlet 은 View 에 데이터를 전달하고, View 는 데이터를 HTML 등의 포맷으로 변환 후 DispatcherServlet 으로 전달
⑨ DispatcherServlet 은 최종적으로 변환된 데이터를 클라이언트에 전달

  • HandlerMapping
    • servlet.HandlerMapping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컴포넌트
    • HTTP 요청 메시지를 추상화한 HttpServletRequest 객체를 받아 요청을 처리하는 핸들러 객체를 조회하는 getHandler() 메서드 제공
    • RequestMappingHandlerMapping 구현체는 @RequestMapping 애너테이션의 속성 정보 로딩 가능
  • HandlerAdapter
    • servlet.HandlerAdapter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컴포넌트
    • 사용자의 요청과 응답을 추상화한 HttpServletRequest, HttpServletResponse 객체를 컨트롤러 클래스의 메서드에 전달하는 Object adapter 역할
  • ModelAndView
    • 컨트롤러 클래스에서 처리한 결과를 어떤 뷰에서 처리할지 결정하고 뷰에 전달할 데이터를 포함하는 클래스
  • ViewResolver
    • 문자열 기반의 view 이름을 실제 View 구현체로 변경
    • 다양한 템플릿 뷰 엔진이 있으며, 적합한 ViewResolver 구현체를 Spring bean 으로 정의하면 됨
    • 예를 들어 JSP 는 InternalResourceViewResolver, Velocity 템플릿 엔진을 사용한다면 VelocityViewResolver, Freemarker 템플릿 엔진을 사용한다면 FreemarkerViewResolver 구현체를 Spring bean 으로 정의

2.2. 서블릿 스택과 리액티브 스택

Spring 웹 MVC 프레임워크는 5.0 버전부터 두 가지 방식으로 설정 가능하다.

  • 서블릿 스택
    • 전통적인 Servlet 모델
    • 동기식 프로그래밍 (=동기식 프로그래밍으로 애플리케이션 개발 시 서블릿 스택으로 구성)
    • 하나의 기능은 하나의 스레드에서만 동작하므로 ThreadLocal 같은 클래스 사용이 가능하고, 비교적 간단하게 프로그래밍 가능
  • 리액티브 스택
    • React 모델 적용
    • 비동기식 프로그래밍 (=비동기식 프로그래밍으로 애플리케이션 개발 시 리액티브 스택으로 구성)
    • 이벤트 루프 모델을 기반으로 비동기식 프로그래밍을 쉽게 할 수 있는 react 라이브러리 포함
    • 서블릿 스택으로 개발된 애플리케이션보다 더 높은 처리량 가능 (특정 기능의 종료를 기다리지 않고 바로 다른 기능을 실행하므로)
    • 시스템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 가능
    • 비동기 프로그래밍은 하나의 기능을 여러 이벤트로 분리하고, 분리된 이벤트들은 각각 다른 스레드에서 실행될 수 있음 (=하나의 기능이 여러 스레드에서 실행됨)

서블릿 스택에 대해 좀 더 알아보자.

서블릿 스택에서 WAS 는 스레드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스레드 풀을 포함한다. 스레드 풀은 WAS 가 기동될 때 초기화되고 종료될 때 정리된다. 사용자 요청마다 스레드를 생셩하기엔 생성 비용이 비싸므로 미리 만들어진 스레드를 재사용하는 스레드 풀로 사용자 요청을 처리한다.

서블릿 스택에서 사용자 요청과 스레드 생명주기가 일치하므로 멀티 스레드 프로그래밍 작업이 필요없다.


2.3. Spring boot 설정

Spring boot 에 자동 설정된 임베디드 WAS 는 Tomcat, Jetty, Undertow 가 있다.

Spring boot 로 웹 애플리케이션 설정 시 아래 두 가지 작업만 하면 바로 서버를 띄울 수 있다.

  • pom.xml 에 spring-boot-starter-web 의존성 추가
    • 이 작업만으로 웹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자동 설정 진행
  • application.properties 속성 파일에 개발자가 필요한 설정 기입

pom.xml

<dependency>
    <groupId>org.springframework.boot</groupId>
    <artifactId>spring-boot-starter-web</artifactId>
</dependency>

spring-boot-starter-web 의존성을 추가하면 spring-boot-autoconfigure 프로젝트에 포함된 WebMvcAutoConfiguration.java 가 실행되어 자동으로 Spring 웹 애플리케이션의 주요 컴포넌트를 설정한다.

WebMvcAutoConfiguration 클래스는 EnableWebMvcConfiguration 과 WebMvcAutoConfigurationAdapter 클래스를 포함한다.

  • EnableWebMvcConfiguration
    • RequestMappingHandler Mapping, RequestMappingHandlerAdapter 컴포넌트 생성 후 설정
  • WebMvcAutoConfigurationAdapter
    • WebMvcConfigurer 인터페이스 구현하는 구조
    • WebMvcConfigurer 는 HttpMessageConverter 들을 설정할 수 있는 configureMessageConverters() 와 extendMessageConverters() 메서드 제공
    • HttpMessageConverter 객체는 요청/응답 객체를 특정 형태로 변환하는 기능을 제공 (예- java 객체를 JSON 객체로) 하기 때문에 API 서버 작성 시 설정하는 경우가 종종 있음

application.properties

server.port=18080
#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커넥션을 맺고, 정해진 시간동안 서버가 응답하지 않으면 해당 커넥션 해제
# s 를 쓰지 않으면 ms 단위임
server.tomcat.connection-timeout=30s

# 톰캣 서버의 스레드풀 최댓값과 최솟값
# 부하가 높으면 최댓값까지 스레드가 생성되고, 부하가 낮으면 최솟값까지 스레드가 줄어듦
# 런타임 도중에 필요한 스레드를 생성하는 시간과 리소스 비용이 높기 때문에 주로 두 값을 같게 설정함
server.tomcat.threads.max=100
server.tomcat.threads.min-spare=100

# 톰캣 서버의 액세스 로그 사용 여부 (default false)
server.tomcat.accesslog.enabled=true
server.tomcat.accesslog.suffix=log
server.tomcat.accesslog.prefix=access_log
server.tomcat.accesslog.rename-on-rotate=true

3. REST-API 애플리케이션 구축

REST-API 에 대한 내용은 REST-API 를 참고하세요.

REST-API 애플리케이션 구축 시 @Controller 보다는 @Controller@ResponseBody 를 동시에 제공하는 @RestController 를 주로 사용하는데 @RestController 사용법은 Spring Boot - REST-API with Spring MVC (1): GET/DELETE 메서드 매핑, 응답 메시지 처리(마셜링)1.2. Controller 구현: @PathVariable, @RequestParam, @DateTimeFormat 을 참고하세요.

/controller/ApiController.java

package com.assu.study.chap04.controller;

import com.assu.study.chap04.domain.Hotel;
import com.assu.study.chap04.domain.HotelSearchService;
import org.springframework.http.ResponseEntity;
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Controller;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PathVariable;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RequestMapping;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RequestMethod;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ResponseBody;

@Controller // DispatcherServlet 이 전달하는 사용자 요청을 받는 클래스
public class ApiController {
  private HotelSearchService hotelSearchService;

  public ApiController(HotelSearchService hotelSearchService) {
    this.hotelSearchService = hotelSearchService;
  }

  @ResponseBody // ResponseEntity<Hotel> 객체를 JSON 형식으로 변경
  @RequestMapping(method = RequestMethod.GET, path = "/hotels/{hotelId}")
  public ResponseEntity<Hotel> getHotelById(@PathVariable("hotelId") Long hotelId) {
    Hotel hotel = hotelSearchService.getHotelById(hotelId);
    return ResponseEntity.ok(hotel);
  }
}

/domain/HotelSearchService.java

package com.assu.study.chap04.domain;

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Service;

@Service
public class HotelSearchService {
  public Hotel getHotelById(Long hotelId) {
    return new Hotel(hotelId, "ASSU Hotel", "Seoul", 100);
  }
}

/domain/Hotel.java

package com.assu.study.chap04.domain;

import lombok.Getter;

import java.util.Objects;

@Getter
public class Hotel {
  private Long hotelId;
  private String name;
  private String address;
  private Integer roomCount;

  public Hotel(Long hotelId, String name, String address, Integer roomCount) {
    if (Objects.isNull(hotelId) || Objects.isNull(name) || Objects.isNull(address)) {
      throw new IllegalArgumentException("hotel parameter is null");
    }
    if (Objects.isNull(roomCount) || roomCount <= 0) {
      throw new IllegalArgumentException("invalid room count");
    }
    this.hotelId = hotelId;
    this.name = name;
    this.address = address;
    this.roomCount = roomCount;
  }
}
$ curl -w "%{http_code}" --location 'http://localhost:18080/hotels/1' | jq
{
  "hotelId": 1,
  "name": "ASSU Hotel",
  "address": "Seoul",
  "roomCount": 100
}
200
$ curl -I -w "%{http_code}" --location 'http://localhost:18080/hotels/1'
HTTP/1.1 200
Content-Type: application/json
Transfer-Encoding: chunked
Date: Fri, 16 Jun 2023 07:49:36 GMT

200%

return ResponseEntity.ok(hotel) static 메서드는 200 OK 상태 코드값을 설정하여 ResponseEntity 객체를 생성한다.

200 OK 외의 다른 상태 코드 응답 시엔 아래를 참고하면 된다.

return ResponseEntity.accepted() // 202 Accepted
return ResponseEntity.notFound() // 404 Not Found
return ResponseEntity.internalServerError() // 500 Internal Server Error
return ResponseEntity.badRequest() // 400 Bad Request

// HttpStatus 열거형 사용
return ResponseEntity.status(HttpStatus.OK).body(hotel);

3.1. @ResponseBody, HttpMessageConverter

REST-API 애플리케이션 구축 시 @Controller 보다는 @Controller@ResponseBody 를 동시에 제공하는 @RestController 를 주로 사용하는데 @RestController 사용법은 Spring Boot - REST-API with Spring MVC (1): GET/DELETE 메서드 매핑, 응답 메시지 처리(마셜링)1.2. Controller 구현: @PathVariable, @RequestParam, @DateTimeFormat 을 참고하세요.

@ResponseBody 애너테이션이 선언된 메서드가 리턴하는 객체는 Spring 프레임워크에 설정된 메시지 컨버터(HttpMessageConverter) 중 적합한 메시지 컨버터가 JSON 메시지로 마셜링한다. 또한 @ResponseBody 가 선언되어 있으면 Spring MVC 의 View 를 사용하지 않는다. 대신 Controller 의 핸들러 메서드가 리턴하는 객체는 Spring MVC 프레임워크 내부에 설정된 HttpMessageConverter 중 적절한 것을 골라 마셜링하고, 마셜링된 JSON 객체가 클라이언트에 전달된다.

마셜링(Marshalling)
객체가 JSON 문자열로 변환되는 것, 그 뱐대는 언마셜링이라고 함

@ResponseBody 애너테이션은 메서드 뿐 아니라 클래스 선언부에도 사용 가능한데 그러면 클래스 내부에 정의된 public 메서드 모두 @ResponseBody 의 영향을 받는다.


참고 사이트 & 함께 보면 좋은 사이트

본 포스트는 김병부 저자의 스프링 부트로 개발하는 MSA 컴포넌트를 기반으로 스터디하며 정리한 내용들입니다.






© 2020.08. by assu10

Powered by assu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