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tlin -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4): 타입 검사, 타입 검사 코딩, 내포된 클래스(nested class)


이 포스트에서는 타입 검사, 내포된 클래스에 대해 알아본다.

소스는 github 에 있습니다.


목차


개발 환경

  • 언어: kotlin 1.9.23
  • IDE: intelliJ
  • SDK: JDK 17
  • 의존성 관리툴: Gradle 8.5

1. 타입 검사

코틀린은 객체 타입에 기반하여 원하는 동작을 쉽게 수행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타입에 따른 동작은 다형성의 영역에 속하기 때문에 타입 검사를 통해 다양한 설계를 할 수 있다.

다형성에 대한 좀 더 상세한 내용은 3. 다형성 (polymorphism) 을 참고하세요.


1.1. 소수의 특별한 타입을 위한 확장 함수 이용

// Any 를 수신 객체로 받은 후 ::class 를 통해 객체에 연관된 클래스 참조를 얻음
val Any.name
    get() = this::class.simpleName

interface Insect {
    fun walk() = "$name: walk~"
    fun fly() = "$name: fly~"
}

class HouseFly : Insect

class Flea : Insect {
    override fun fly() = throw Exception("Flea cannot fly.")
    fun crawl() = "Flea: crawl~"
}

fun Insect.basic() =
    walk() + " basic- " +
        if (this is Flea) {
            crawl()
        } else {
            fly()
        }

interface SwimmingInsect : Insect {
    fun swim() = "$name: swim~"
}

interface WaterWalker : Insect {
    fun walkWater() = "$name: walk on water~"
}

class WaterBeetle : SwimmingInsect

class WaterStrider : WaterWalker

class WhirligigBeetle : SwimmingInsect, WaterWalker

fun Insect.water() =
    when (this) {
        is SwimmingInsect -> swim()
        is WaterWalker -> walkWater()
        else -> "$name: drown."
    }

fun main() {
    val insects = listOf(HouseFly(), Flea(), WaterStrider(), WaterBeetle(), WhirligigBeetle())
    val result1 = insects.map { it.basic() }
    val result2 = insects.map { it.water() }

    // [HouseFly: walk~ basic- HouseFly: fly~, Flea: walk~ basic- Flea: crawl~,
    // WaterStrider: walk~ basic- WaterStrider: fly~, WaterBeetle: walk~ basic- WaterBeetle: fly~, WhirligigBeetle: walk~ basic- WhirligigBeetle: fly~]
    println(result1)

    // [HouseFly: drown., Flea: drown., WaterStrider: walk on water~, WaterBeetle: swim~, WhirligigBeetle: swim~]
    println(result2)
}

위 코드처럼 극소수 타입에만 적용되는 기능은 기반 클래스에 넣는 것이 아니라 Insect.water() 처럼 확장 함수를 통해 특별한 기능을 하는 타입을 걸러내고 나머지 모든 대상에 대해서는 표준적인 기능을 실행하는 when 식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

이렇게 특별한 처리를 위해 별도의 소수 타입을 선택하는 것은 타입 검사의 전형적인 케이스이다.

위 코드에서 아래 내용은 Any 를 수신 객체로 받은 후 ::class 를 통해 객체에 연관된 클래스 참조를 얻은 후 해당 클래스의 simpleName 을 돌려준다.

val Any.name
    get() = this::class.simpleName

1.2. 타입 검사 코딩

아래의 예시는 타입 검사 코딩의 예시로 안티 패턴 중 하나임

interface Shape {
    fun draw(): String
}

class Circle : Shape {
    override fun draw(): String = "circle: draw~"
}

class Square : Shape {
    override fun draw(): String = "square: draw~"
    fun rotate() = "square: rotate~"
}

fun turn(s: Shape) =
    when (s) {
        is Square -> s.rotate()
        else -> "none~"
    }

fun main() {
    val shapes = listOf(Circle(), Square())
    val result1 = shapes.map { it.draw() }
    val result2 = shapes.map { turn(it) }

    println(result1)    // [circle: draw~, square: draw~]
    println(result2)    // [none~, square: rotate~]
}

위 코드에서 rotate()Shape 대신 Square 에 넣은 이유는 아래와 같다.

  • Shape 인터페이스는 객발자가 제어할 수 있는 범위를 벗어났기 때문에 Shape 는 변경 불가
  • Square 를 회전시키는 rotate()Square 에만 적용할 연산임
  • Shaperotate() 를 넣으면 Shape 의 모든 하위 타입에서 해당 함수를 구현해야 함

하지만 시스템이 운영되면서 더 많은 타입을 추가되면 코드가 지저분해지기 시작한다.

interface Shape1 {
    fun draw(): String
}

class Circle1 : Shape1 {
    override fun draw(): String = "circle: draw~"
}

class Square1 : Shape1 {
    override fun draw(): String = "square: draw~"
    fun rotate() = "square: rotate~"
}

// 새로운 클래스 추가됨
class Triangle1 : Shape1 {
    override fun draw() = "triangle: draw~"
    fun rotate() = "triangle: rotate~"
}

fun turn(s: Shape1) =
    when (s) {
        is Square1 -> s.rotate()
        else -> "none~"
    }

// 새로운 함수 추가 필요
fun turn2(s: Shape1) =
    when (s) {
        is Square1 -> s.rotate()
        is Triangle1 -> s.rotate()
        else -> "none~"
    }

fun main() {
    val shapes = listOf(Circle1(), Square1(), Triangle1())
    val result1 = shapes.map { it.draw() }
    val result2 = shapes.map { turn(it) }
    val result3 = shapes.map { turn2(it) }

    println(result1) // [circle: draw~, square: draw~, triangle: draw~]
    println(result2) // [none~, square: rotate~, none~]
    println(result3) // [none~, square: rotate~, triangle: rotate~]
}

위와 같이 turn(), turn2() 같은 함수가 점점 많아진다면 Shape 의 로직은 이제 Shape 계층 구조 안에 집중적으로 들어있지 않고 이 모든 함수에 분산되어 버린다.
Shape 의 하위 타입을 추가하면 Shape 타입에 대해 타입을 검사해 처리하는 when 이 들어있는 모든 함수를 찾아서 새로 추가한 타입을 처리하도록 변경해야 한다.
함수 중 누락한 부분이 있어도 컴파일러는 감지하지 못한다.

위 코드에서 turn(), turn2()타입 검사 코딩의 방식이다.
객체 지향 언어에서 타입 검사 코딩은 안티 패턴으로 간주한다.
시스템에 타입을 추가하거나 변경할 때마다 유지 보수해야 하는 코드가 점점 많아지기 때문이다.

반면에 다형성은 이런 변경 내용을 캡슐화하여 변경할 타입에 넣어주므로 변경 내용이 시스템 전체에 투명하게 전파된다.

다형성에 대한 좀 더 상세한 내용은 3. 다형성 (polymorphism) 을 참고하세요.

sealed 클래스를 사용하면 이런 문제를 완벽하진 않아도 크게 완화할 수 있다.
sealed 클래스는 타입 검사 코딩이 훨씬 더 합리적인 설계적 선택이 되게끔 도와주기 때문이다.

sealed 클래스에 대한 좀 더 상세한 내용은 3. 봉인된 클래스: sealed 를 참고하세요.


1.3. 외부 함수에서 타입 검사

아래는 BeverageContainer 클래스가 음료수를 오픈하고 따르는 것이며, 재활용을 외부 함수로 다루는 예시이다. (잘못된 설계임)

interface BeverageContainer {
    fun open(): String
    fun pour(): String
}

class Can : BeverageContainer {
    override fun open() = "Can Open~"
    override fun pour() = "Can Pour~"
}

open class Bottle : BeverageContainer {
    override fun open() = "Bottle Open~"
    override fun pour() = "Bottle Pour~"
}

class GlassBottle : Bottle()

class PlasticBottle : Bottle()

fun BeverageContainer.recycle() =
    // when 에서 타입 검사
    when (this) {
        is Can -> "Recycle can~"
        is GlassBottle -> "Recycle Glass bottle~"
        else -> "Landfill"
    }

fun main() {
    val refrigerator = listOf(Can(), Bottle(), GlassBottle(), PlasticBottle())

    val result1 = refrigerator.map { it.open() }
    var result2 = refrigerator.map { it.recycle() }

    println(result1) // [Can Open~, Bottle Open~, Bottle Open~, Bottle Open~]
    println(result2) // [Recycle can~, Landfill, Recycle Glass bottle~, Landfill]
}

위 코드를 보면 recycle() 을 외부 함수로 정의함으로써 BeverageContainer 의 계층 구조에 분산시키지 않고 한 군데에 모아두었고, when 에서 타입에 대해 작용하는 것도 깔끔하다.

하지만 위의 코드에도 문제점이 있다.

새로운 타입을 추가할 때는 recycle() 에서 else 절을 사용하게 된다.
새로운 타입 추가 시 recycle() 과 같이 타입 검사를 사용하는 (= 꼭 수정해야 하는) 함수를 수정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원하는 것은 컴파일러가 recycle() 과 같은 함수에서 타입 검사를 추가하지 않았음을 알려주는 것이다.

이 때 sealed 클래스를 사용하면 상황이 크게 개선된다.

개선되는 내용은 3.1. 봉인된 클래스 사용 의 코드를 참고하세요.


1.4. sealed 클래스에서 외부 함수에서 타입 검사

아래는 위 코드에서 sealed 클래스를 BeverageContainer 에 적용 시 발생하는 문제와 그에 대한 해법 예시이다.

sealed class BeverageContainer2 {
    abstract fun open(): String
    abstract fun pour(): String
}

sealed class Can2 : BeverageContainer2() {
    override fun open() = "can open~"
    override fun pour() = "can pour~"
}

class SteelCan2 : Can2()

class AluminumCan2 : Can2()

sealed class Bottle2 : BeverageContainer2() {
    override fun open() = "bottle open~"
    override fun pour() = "bottle pour~"
}

class GlassBottle2 : Bottle2()

sealed class PlasticBottle2 : Bottle2()

class PetBottle2 : PlasticBottle2()

class HepBottle2 : PlasticBottle2()

fun BeverageContainer2.recycle() =
    when (this) {
        is Can2 -> "recycle can~"
        is Bottle2 -> "recycle bottle~"
    }

fun BeverageContainer2.recycle2() =
    when (this) {
        is Can2 ->
            when (this) {
                is SteelCan2 -> "recycle steel~"
                is AluminumCan2 -> "recycle aluminum~"
            }

        is Bottle2 ->
            when (this) {
                is GlassBottle2 -> "recycle glass~"
                is PlasticBottle2 ->
                    when (this) {
                        is PetBottle2 -> "recycle pet-bottle~"
                        is HepBottle2 -> "recycle hep-bottle~"
                    }
            }
    }

fun main() {
    val refrigerator =
        listOf(
            SteelCan2(),
            AluminumCan2(),
            GlassBottle2(),
            PetBottle2(),
            HepBottle2(),
        )

    val result1 = refrigerator.map { it.open() }
    val result2 = refrigerator.map { it.recycle() }
    val result3 = refrigerator.map { it.recycle2() }

    println(result1)    // [can open~, can open~, bottle open~, bottle open~, bottle open~]
    println(result2)    // [recycle can~, recycle can~, recycle bottle~, recycle bottle~, recycle bottle~]
    println(result3)    // [recycle steel~, recycle aluminum~, recycle glass~, recycle pet-bottle~, recycle hep-bottle~]
}

위 코드가 제대로 동작하려면 중간 클래스인 Can2Bottle2sealed 가 되어야 한다.

클래스가 BeverageContainer2 의 직접적인 파생 클래스인 한 컴파일러는 recycle() 에 있는 when 의 모든 하위 타입을 검사하도록 보장한다.
하지만 GlassBottle2AluminumCan2 과 같은 하위 타입은 검사가 불가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려면 recycle2() 처럼 when 안에 다른 when 을 내포시켜서 컴파일러가 모든 타입을 검사할 수 있도록 하면 된다.

이렇게 견고한 검사 해법을 만들려면 클래스 계층의 각 단계에서 sealed 를 적용하면서 when 에서 각 sealed 클래스에 해당하는 부분에 when 을 통한 타입 검사를 꼭 내포시켜야 한다.

사실 이런 문제는 상속을 여러 단계에 걸쳐서 수행할 때만 발생한다.

만일 recycle() 을 아래와 같이 BeverageContainer2 안에 넣으면 BeverageContainer2 를 인터페이스로 정의할 수 있다.

interface BeverageContainer3 {
  fun open(): String
  fun pour() = "pour~"
  fun recycle(): String
}

abstract class Can3: BeverageContainer3 {
  override fun open() = "can open~"
}

class SteelCan3: Can3() {
  // Can3 클래스가 abstract 이므로 recycle() 를 오버라이드 해야함
  override fun recycle() = "can recycle~"
}

이렇게 Can3 을 abstract 클래스로 정의함으로써 컴파일러는 모든 파생 클래스가 recycle() 을 오버라이드 하도록 강제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recycle() 의 행동 방식이 여러 클래스에 분산된다.

따라서 특정 함수의 기능이 자주 바뀌기 때문에 한 군데서 이를 처리하고 싶다면 첫 코드의 BeverageContainer2.recycle2() 처럼 외부 함수 안에서 타입 검사를 하는 것이 더 좋은 선택일 수 있다.


2. 내포된 클래스 (nested class)

내포된 클래스는 단순히 외부 클래스의 name space 안에 정의된 클래스로, 내포된 클래스를 사용하면 객체 안에 더 세분화된 구조를 정의할 수 있다.

클래스 계층을 만들되 그 계층에 속한 클래스의 수를 제한하고 싶은 경우 내포된 클래스를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봉인 (sealed) 된 클래스가 있음

봉인된 클래스에 대한 내용은 3. 봉인된 클래스: sealed 를 참고하세요.

아래 코드에서 PlanePrivatePlane 은 내포된 클래스이다.

package assu.study.kotlinme.chap05.nastedClasses
import assu.study.kotlinme.chap05.nastedClasses.Airport.Plane

class Airport(private val code: String) {
    // 내포된 클래스 (Airport name space 안에 정의된 클래스)
    open class Plane {
        // 자신을 둘러싼 클래스의 private 프로퍼티(private val code)에 접근 가능
        fun contact(airport: Airport) = "contacting ${airport.code}"
    }

    // 내포된 클래스이면서 private
    private class PrivatePlane : Plane()

    // 결과를 public 타입인 Plane 으로 업캐스트하여 반환
    fun privatePlane(): Plane = PrivatePlane()
}

fun main() {
    val korea = Airport("KOR")

    // Plane 객체 생성 시 Airport 객체가 필요없음
    var plane = Plane()

    val result1 = plane.contact(korea)
    println(result1) // contacting KOR

    // 아래와 같은 오류가 뜨면서 컴파일되지 않음
    // Cannot access 'PrivatePlane': it is private in 'Airport'

    // val privatePlane = Airport.PrivatePlane()

    val japan = Airport("JPN")
    plane = japan.privatePlane()
    val result2 = plane.contact(japan)

    println(result2) // contacting JPN
    
    // 컴파일 오류
    // 외부에서 받은 public 타입의 객체 참조(Plane) 을 다시 private 타입(PrivatePlane) 으로 다운캐스트 불가 
    //val p = plane as PrivatePlane
}

위 코드에서 contact() 에서 내포된 클래스인 Plane 은 인자로 받은 airport 의 private 프로퍼티인 code 에 접근 가능하지만, 일반 클래스는 다른 클래스의 private 프로퍼티에 접근할 수 없다.


아래 코드를 보면 Plane 객체 생성 시 Airport 객체가 필요하지는 않다.
만일 Airport 클래스 본문 밖에서 Plane 객체를 생성하려고 한다면 일반적으로 생성자 호출을 한정시켜야 하는데,
.nastedClasses.Airport.Plane 를 import 하면 Plane 을 한정시키지 않을 수 있다.

import assu.study.kotlinme.chap05.nastedClasses.Airport.Plane

...

var plane = Plane()

PrivatePlane내포된 클래스이면서 private 이다.
따라서 Airport 밖에서는 PrivatePlane 에 직접 접근할 수 없으며, PrivatePlane 의 생성자를 호출할 수도 없다.

// 아래와 같은 오류가 뜨면서 컴파일되지 않음
// Cannot access 'PrivatePlane': it is private in 'Airport'

// val privatePlane = Airport.PrivatePlane()

privatePlane() 처럼 Airport 의 멤버 함수가 PrivatePlane 을 반환한다면 결과를 public 타입으로 업캐스트해서 반환(Plane 으로 업캐스트)해야 하며,
Airport 밖에서 이렇게 받은 public 타입의 객체 참조를 다시 private 타입으로 다운캐스트(PrivatePlane) 할 수는 없다.

...

// 결과를 public 타입인 Plane 으로 업캐스트하여 반환
fun privatePlane(): Plane = PrivatePlane()

...

// 외부에서 받은 public 타입의 객체 참조(Plane) 을 다시 private 타입(PrivatePlane) 으로 다운캐스트 불가 
// val p = plane as PrivatePlane

아래는 Cleanable 이 외부 클래스인 HouseHouse 의 모든 내포 클래스의 상위 타입인 경우이다.
clean()parts 의 List 에 대해 이터레이션하면서 각각의 clean() 을 호출 (일종의 재귀) 한다.

여러 수준의 내포가 이루어져 있는 코드이다.

abstract class Cleanable(val id: String) {
    open val parts: List<Cleanable> = listOf()

    fun clean(): String {
        val text = "id is $id clean~"
        if (parts.isEmpty()) {
            return text
        }
        return "${
            parts.joinToString(
                separator = " ",
                prefix = "(",
                postfix = ")",
                transform = Cleanable::clean, // 각 요소를 변환하는 함수 지정
            )
        }~  $text~\n"
    }
}

class House : Cleanable("House") {
    override val parts =
        listOf(
            Bedroom("Master bedroom"),
            Bedroom("Guest bedroom"),
        )

    // 내포 클래스: 1 depth
    class Bedroom(id: String) : Cleanable(id) {
        override val parts = listOf(Closet(), Bathroom())

        // 내포 클래스: 2 depth
        class Closet : Cleanable("Closet") {
            override val parts = listOf(Shelf(), Shelf())

            // 내포 클래스: 3 depth
            class Shelf : Cleanable("Shelf")
        }

        // 내포 클래스: 2 depth
        class Bathroom : Cleanable("Bathroom") {
            override val parts = listOf(Toilet(), Sink())

            // 내포 클래스: 3 depth
            class Toilet : Cleanable("Toilet")

            // 내포 클래스: 3 depth
            class Sink : Cleanable("Sink")
        }
    }
}

fun main() {
    val result = House().clean()

    // (((id is Shelf clean~ id is Shelf clean~)~  id is Closet clean~~
    // (id is Toilet clean~ id is Sink clean~)~  id is Bathroom clean~~
    // )~  id is Master bedroom clean~~
    // ((id is Shelf clean~ id is Shelf clean~)~  id is Closet clean~~
    // (id is Toilet clean~ id is Sink clean~)~  id is Bathroom clean~~
    // )~  id is Guest bedroom clean~~
    // )~  id is House clean~~
    println(result)
}

2.1. Local 클래스

Local open 클래스는 거의 정의하지 않는 것을 권장함

코틀린은 한 파일안에 여러 최상위 클래스나 함수 정의가 가능함.
따라서 Local 클래스를 사용할 필요가 거의 없음.
Local 클래스로는 아주 기본적이고 단순한 클래스만 사용해야 함.

예를 들어 함수 내부에서 data 클래스를 정의해서 사용하는 것은 합리적이며,
Local 클래스가 복잡해지면 이 Local 클래스를 함수에서 꺼내서 일반 클래스로 격상시켜야 함

Local 클래스는 함수 안에 내포된 클래스이다.

fun localClasses() {
    // Local 클래스
    open class Amphibian
    class Frog: Amphibian()
    val amphibian: Amphibian = Frog()
}

Amphibian 는 interface 이어야할 것 같지만 Local interface 는 허용되지 않는다.

위 코드에서 AmphibianFroglocalClasses() 밖에서는 볼 수 없기 때문에 이런 클래스를 함수가 반환할 수도 없다.
Local 클래스의 객체를 반환하려면 그 객체를 함수 밖에서 정의한 인터페이스나 클래스로 업캐스트해야 한다.

interface Amphibian

fun createAmphibian(): Amphibian {
    // Local 클래스인 Frog 를 반환하기 위해 클래스 밖에서 정의한 인터페이스인 Amphibian 으로 업캐스트
    class Frog : Amphibian
    return Frog()
}

fun main() {
    val amphibian = createAmphibian()
    println(amphibian)  // assu.study.kotlinme.chap05.nastedClasses.ReturnLocalKt$createAmphibian$Frog@4f3f5b24
    
    // createAmphibian() 외부에서는 Frog 를 알지 못하기 때문에 업캐스트 불가
    //amphibian as Frog
}

2.2.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클래스

인터페이스 안에 클래스를 내포시킬 수도 있다.

interface Item {
    val type: Type

    // 인터페이스안에 내포된 클래스
    data class Type(val type: String)
}

class Bolt(type: String) : Item {
    override val type = Item.Type(type)
}

fun main() {
    val items = listOf(Bolt("aa"), Bolt("bb"))

    val result1 = items.map(Item::type)
    val result2 = items.map { Item::type }  // Suspicious callable reference as the only lambda element 

    // [Type(type=aa), Type(type=bb)]
    println(result1)

    // [val assu.study.kotlinme.chap05.nastedClasses.Item.type: assu.study.kotlinme.chap05.nastedClasses.Item.Type
    // , val assu.study.kotlinme.chap05.nastedClasses.Item.type: assu.study.kotlinme.chap05.nastedClasses.Item.Type]
    println(result2)
}

2.3. 내포된 enum: coerceAtMost()

enum 도 클래스이므로 다른 클래스안에 내포될 수 있다.

@file:Suppress("ktlint:standard:no-wildcard-imports")

import assu.study.kotlinme.chap05.nastedClasses.Ticket.Seat.*

class Ticket(
    val name: String,
    val seat: Seat = Coach,
) {
    // 내포된 enum
    enum class Seat {
        Coach,
        Premium,
        First,
    }

    fun upgrade(): Ticket {
        // 결과값을 values() 인덱스로 사용하여 새로운 Seat enum 타입값을 만듦
        val newSeat =
            Ticket.Seat.values()[
                // 호출된 객체(seat.ordinal + 1)가 특정 객체(First.ordinal)보다 더 작으면 호출된 객체 반환, 아니면 최대 객체 반환
                (seat.ordinal + 1).coerceAtMost(First.ordinal),
            ]
        return Ticket(name, newSeat)
    }

    // when 을 사용하여 모든 Seat 타입 검사
    fun meal() =
        when (seat) {
            Coach -> "coach meal~"
            Premium -> "premium meal~"
            First -> "first meal~"
        }

    override fun toString() = "$seat~"
}

fun main() {
    val tickets =
        listOf(
            Ticket("AAA"),
            Ticket("BBB", Premium),
            Ticket("CCC", First),
        )

    val result1 = tickets.map(Ticket::meal)
    val result2 = tickets.map(Ticket::upgrade)

    println(tickets) // [Coach~, Premium~, First~]
    println(result1) // [coach meal~, premium meal~, first meal~]
    println(result2) // [Premium~, First~, First~]
}

위 코드에서 when 은 모든 Seat 타입을 검사하므로 이 부분을 다형성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

다형성에 대한 좀 더 상세한 내용은 3. 다형성 (polymorphism) 을 참고하세요.


enum 은 함수에 내포시킬 수 없고, enum 이 다른 클래스를 상속할 수도 없다.


참고 사이트 & 함께 보면 좋은 사이트

본 포스트는 브루스 에켈, 스베트라아 이사코바 저자의 아토믹 코틀린 과 드리트리 제메로프, 스베트라나 이사코바 저자의 Kotlin In Action 을 기반으로 스터디하며 정리한 내용들입니다.






© 2020.08. by assu10

Powered by assu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