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tlin - 에러 방지(1): 커스텀 에러 타입 정의, 'require()', 'check()', Nothing 타입, 'TODO()'


이 포스트에서는 커스텀 에러 타입 정의, 검사 명령, Nothing 타입에 대해 알아본다.

소스는 github 에 있습니다.


목차


개발 환경

  • 언어: kotlin 1.9.23
  • IDE: intelliJ
  • SDK: JDK 17
  • 의존성 관리툴: Gradle 8.5

1. 예외 처리


1.1. 커스텀 에러 타입 정의

표준 라이브러리의 예외로 충분하지 못한 경우 Exception 이나 Exception 의 하위 타입을 상속한 새로운 예외 타입을 정의할 수 있다.

throw 식은 Throwable 의 하위 타입을 요구한다.
새로운 예외 타입을 정의하려면 Exception 을 상속하면 된다. (ExceptionThrowable 을 확장함)

class Exception1(val value: Int) : Exception("wrong value: $value")

open class Exception2(desc: String) : Exception(desc)

class Exception3(desc: String) : Exception2(desc)

fun main() {
    throw Exception1(11)
    //throw Exception3("abc")
}

throw Exception1(11) 실행 시

Exception in thread "main" assu.study.kotlinme.chap06.exceptionHandling.Exception1: wrong value: 11

throw Exception3(“abc”) 실행 시

Exception in thread "main" assu.study.kotlinme.chap06.exceptionHandling.Exception3: abc

1.2. 복구

아래 코드를 먼저 보자.

class Exception11(val value: Int) : Exception("wrong value: $value")

fun func1(): Int = throw Exception11(-11)

fun func2() = func1()

fun func3() = func2()

fun main() {
    func3()
}
Exception in thread "main" assu.study.kotlinme.chap06.exceptionHandling.Exception11: wrong value: -11
	at assu.study.kotlinme.chap06.exceptionHandling.StacktraceKt.func1(Stacktrace.kt:5)
	at assu.study.kotlinme.chap06.exceptionHandling.StacktraceKt.func2(Stacktrace.kt:7)
	at assu.study.kotlinme.chap06.exceptionHandling.StacktraceKt.func3(Stacktrace.kt:9)
	at assu.study.kotlinme.chap06.exceptionHandling.StacktraceKt.main(Stacktrace.kt:12)
	at assu.study.kotlinme.chap06.exceptionHandling.StacktraceKt.main(Stacktrace.kt)

예외가 처음 던져진 func1()func1() 을 호출한 func2() 로 한 단계 올라가고, func2() 를 호출한 func3() 으로 한 단계 더 전달된다.
이런 식으로 함수 호출 체인의 가장 위쪽인 main() 으로 전달된다.

이 과정에서 예외와 일치하는 exception handler 가 있으면 예외를 catch 한다.
exception handler 를 찾으면 핸들러 검색이 끝나고 핸들러가 종료된다.

만일 일치하는 핸들러는 잡지 못하면 콘솔에 stack trace 를 출력하면서 종료된다.

exception handler 에서는 catch 키워드 다음에 처리하려는 예외의 목록을 나열하고, 이 후 복구 과정을 구현하는 코드를 구현한다.

class Exception111(val value: Int) : Exception("wrong value: $value")

open class Exception222(desc: String) : Exception(desc)

class Exception333(desc: String) : Exception222(desc)

fun toss(which: Int) =
    when (which) {
        1 -> throw Exception111(111)
        2 -> throw Exception222("222")
        3 -> throw Exception333("333")
        else -> "ok"
    }

fun test(which: Int): Any? =
    try {
        toss(which)
    } catch (e: Exception111) {
        println("1 e: $e")
        println("1 e.message: ${e.message}")
        println("1 e.value: ${e.value}")
        e.message
    } catch (e: Exception333) {
        println("3 e: $e")
        println("3 e.message: ${e.message}")
        // println("1 e.value: ${e.value}")
        e.message
    } catch (e: Exception222) {
        println("2 e: $e")
        println("2 e.message: ${e.message}")
        // println("3 e.value: ${e.value}")
        e.message
    }

fun main() {
    println(test(0)) // ok
    println(test(1)) // 111
    println(test(2)) // 222
    println(test(3)) // 333
}

자바 코드와 다른 점은 throws 절이 코드에 없다는 점이다.
자바에서는 함수를 작성할 때 함수 선언 뒤에 throws IOException 을 붙여야 한다.
IOException 이 체크 예외이기 때문인데 자바에서는 체크 예외를 명시적으로 처리해야 한다.

어떤 함수가 던질 가능성이 있는 예외나 그 함수가 호출한 다른 함수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예외를 모두 catch 로 처리해야 하며, 처리하지 않은 예외는 throws 절에 명시해야 한다.

ok

1 e: assu.study.kotlinme.chap06.exceptionHandling.Exception111: wrong value: 111
1 e.message: wrong value: 111
1 e.value: 111
wrong value: 111

2 e: assu.study.kotlinme.chap06.exceptionHandling.Exception222: 222
2 e.message: 222
222

3 e: assu.study.kotlinme.chap06.exceptionHandling.Exception333: 333
3 e.message: 333
333

Any?? null 이 될 수 있는 타입으로 좀 더 상세한 내용은 1. null 이 될 수 있는 타입: ? 을 참고하세요.


Exception3333Exception2222 를 확장하고, 핸들러가 차례로 정의될 때 아래처럼 Exception2222 가 먼저 위치하면 Exception3333 도 함께 catch 한다.

class Exception1111(val value: Int) : Exception("wrong value: $value")

open class Exception2222(desc: String) : Exception(desc)

class Exception3333(desc: String) : Exception2222(desc)

fun toss1(which: Int) =
    when (which) {
        1 -> throw Exception1111(111)
        2 -> throw Exception2222("222")
        3 -> throw Exception3333("333")
        else -> "ok"
    }

fun catchOrder(which: Int) =
    try {
        toss1(which)
    } catch (e: Exception1111) {
        "handler for Exception1111 got ${e.message}"
    } catch (e: Exception2222) {
        "handler for Exception2222 got ${e.message}"
    } catch (e: Exception3333) {
        "handler for Exception3333 got ${e.message}"
    }

fun main() {
    println(catchOrder(1))  // handler for Exception1111 got wrong value: 111
    println(catchOrder(2))  // handler for Exception2222 got 222
    println(catchOrder(3))  // handler for Exception2222 got 333
}

1.3. 예외 하위 타입

너무 많은 예외 타입을 만드는 것은 코드의 복잡도를 높힌다.

간단한 규칙으로, 처리 방식이 달라야 한다면 다른 예외 타입을 사용하여 이를 구분하는 것이 좋고,
처리 방식이 같다면 동일한 예외 타입을 쓰면서 생성자 인자를 다르게 주는 방식으로 구체적인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 좋다.

아래는 잘못된 값을 전달하여 발생하는 표준 라이브러리인 IllegalArgumentException 발생 예시이다.

다른 상황에서 같은 예외를 사용하여 혼선을 주는 안 좋은 예시

fun testCode(code: Int) {
    if (code <= 1000) {
        throw IllegalArgumentException("code must be > 1000: $code")
    }
}

fun main() {
    try {
        // A1 은 16진수로 161
        testCode("A1".toInt(16))
    } catch (e: IllegalArgumentException) {
        println(e.message)  // code must be > 1000: 161
    }

    try {
        testCode("0".toInt(1))
    } catch (e: IllegalArgumentException) {
        println(e.message)  // radix 1 was not in valid range 2..36
    }
}

두 번째 예외는 testCode() 가 아닌 toInt(radix) 에 의해서 IllegalArgumentException 이 발생하였다.

두 가지 다른 상황에서 같은 예외를 쓰면 혼선이 올 수 있기 때문에 이럴 때는 코드가 발생시키는 오류에서는 커스텀으로 IncorrectInputException1 을 던지게 하면 된다.

package assu.study.kotlinme.chap06.exceptionHandling

class IncorrectInputException1(
  message: String,
) : Exception(message)

fun checkCode(code: Int) {
  if (code <= 1000) {
    throw IncorrectInputException1("code must be > 1000: $code")
  }
}

fun main() {
  try {
    // A1 은 16진수로 161
    checkCode("A1".toInt(16))
  } catch (e: IncorrectInputException1) {
    println(e.message) // code must be > 1000: 161
  } catch (e: IllegalArgumentException) {
    println("produces error ${e.message}")
  }

  try {
    checkCode("1".toInt(1))
  } catch (e: IncorrectInputException1) {
    println(e.message)
  } catch (e: IllegalArgumentException) {
    println("produces error ${e.message}") // produces error radix 1 was not in valid range 2..36
  }
}

1.4. 자원 해제: finally

자원을 해제하는 좀 더 나은 방법이 있으므로 아래 내용은 참고만 할 것

finally 절은 자원 해제 도중 예외 발생 시 대응이 불가하므로 자원을 해제할 때는 use() 를 사용함
이 부분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1. 자원 해제: use() 참고하세요.

실패를 피할 수 없을 때 자원을 자동으로 해제하게 만들면 다른 부분이 계속 안전하게 실행될 수 있다.

finally 는 예외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자원을 해제할 수 있도록 보장한다.

fun checkValue(value: Int) {
    try {
        println(value)
        if (value <= 0) {
            throw IllegalArgumentException("value must be positive: $value")
        }
    } finally {
        println("finally for $value")
    }
}

fun main() {
    val result = listOf(10, -10)

    result.forEach {
        try {
            checkValue(it)
        } catch (e: IllegalArgumentException) {
            println("catch for main: ${e.cause}, ${e.message}")
        }
    }
}
10
finally for 10

-10
finally for -10
catch for main: null, value must be positive: -10

아래는 finally 의 또 다른 예시이다.

data class Switch(var on: Boolean = false, var result: String = "ok")

// Switch 클래스를 리턴
fun testFinally(i: Int): Switch {
  val sw = Switch()
  try {
    sw.on = true
    when (i) {
      0 -> throw IllegalArgumentException()
      2 -> throw BadRequestException()
      1 -> return sw
    }
  } catch (e: IllegalArgumentException) {
    sw.result = "exception~"
    println("catch~")
  } finally {
    sw.on = false
    println("finally~")
  }
  return sw
}

fun main() {
  // catch~
  // finally~
  // Switch(on=false, result=exception~)
  println(testFinally(0))

  // finally~
  // Switch(on=false, result=ok)
  println(testFinally(1))

  // finally~
  // Exception in thread "main" org.apache.coyote.BadRequestException
  println(testFinally(2)) // Switch(on=false, result=ok)
}

예외가 발생하더라도 finally 는 무조건 실행이 된다.


1.5. try 를 식으로 사용

아래는 예외가 발생할 경우 catch 블록 다음의 코드가 실행되지 않는 예시이다.

package com.assu.study.kotlin2me.chap02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StringReader

fun readNumber(reader: BufferedReader) {
    val number =
        try {
            Integer.parseInt(reader.readLine()) // 이 식의 값이 try 식의 값이 됨
        } catch (e: NumberFormatException) {
            return  // 예외가 발생하면 catch 블록 다음의 코드는 실행되지 않음
        }
    println(number)
}

fun main() {
    val reader = BufferedReader(StringReader("not a number"))
    readNumber(reader) // 아무것도 출력되지 않음
}

만약 예외가 발생해도 계속 진행하고 싶다면 catch 블록도 값을 만들어야 한다.

package com.assu.study.kotlin2me.chap02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StringReader

fun readNumber2(reader: BufferedReader) {
    val number =
        try {
            Integer.parseInt(reader.readLine()) // 이 식의 값이 try 식의 값이 됨
        } catch (e: NumberFormatException) {
            null // 예외가 발생하면 null 을 사용
        }
    println(number)
}

fun main() {
    val reader = BufferedReader(StringReader("not a number"))
    readNumber2(reader) // null
}

2. 검사 명령

검사 명령은 만족시켜야 하는 제약 조건을 적은 단언문으로 보통 함수 인자와 검증할 때 검사 명령을 사용한다.

검사 명령을 사용하면 프로그램을 검증하고, 코드를 더 자세히 설명할 수 있으므로 가능할 때마다 검사 명령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2.1. 사전 조건: require()

사전 조건은 초기화 관련 제약 사항을 보장한다.

require() 는 보통 함수 인자를 검증하기 위해 사용되며, 함수 본문 맨 앞에 위치한다.

인자 검증이나 사전 조건 검증을 컴파일 시점에 사용할 수는 없다.

사전 조건은 코드에 포함시키기가 상대적으로 쉽지만, 상황에 따라서는 단위 테스트로 변환하여 처리할 수도 있다.

단위 테스트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3. 단위 테스트 를 참고하세요.

아래와 같이 달력을 달을 표현하는 숫자 필드(1..12)가 있을 때 사전 조건은 이 필드값이 해당 범위를 벗어나면 오류를 반환한다.

data class Month(val monthNumber: Int) {
    init {
        require(monthNumber in 1..12) {
            "Month out of range: $monthNumber"
        }
    }
}

fun main() {
    // Month(monthNumber=1)
    println(Month(1))

    // Exception in thread "main" java.lang.IllegalArgumentException: Month out of range: 13
    println(Month(13))
}

require() 를 생성자 안에서 호출하는데, require() 는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면 IllegalArgumentException 을 반환한다.
따라서 IllegalArgumentException 예외를 던지는 대신에 항상 require() 를 사용할 수 있다.

require() 의 두 번째 파라메터는 String 을 만들어내는 람다이다.
따라서 require() 가 예외를 던지기 전까지는 문자열 생성 부가 비용이 들지 않는다.

위 코드의 init 을 아래와 같이 사용할 수도 있다.

init {
    require(monthNumber in 1..12)
}
Exception in thread "main" java.lang.IllegalArgumentException: Failed requirement.

2.2. File, Paths

아래 코드에서 DataFile 객체는 파일을 targetDir 하위 디렉터리에 저장한다.

import java.io.File
import java.nio.file.Paths

var targetDir = File("DataFiles")

class DataFile(val fileName: String) : File(targetDir, fileName) {
    init {
        if (!targetDir.exists()) {
            targetDir.mkdir()
        }
    }

    fun erase() {
        if (exists()) {
            delete()
        }
    }

    fun reset(): File {
        erase()
        createNewFile()
        return this
    }
}

fun main() {
    println(DataFile("Test.txt").reset().toString())    // DataFiles/Test.txt
    println(Paths.get("DataFiles", "Test.txt").toString())  // DataFiles/Test.txt
}

File 클래스는 운영체제 수준의 파일을 조작하여 데이터를 읽고 쓴다.

Paths 클래스는 오버로드한 get() 만 제공한다.
get() 은 String 을 여러 개 받아서 Path 객체를 만든다.
Path 객체는 운영체제와 독립적으로 디렉터리 경로를 표현한다.


파일을 열 때는 파일 경로, 이름, 내용 등의 제약이 있을 수 있는데 require() 를 사용하여 파일이름이 올바른지 검증하고, 파일 존재 여부와 파일이 비어있지는 않은지 여부를 검증할 수 있다.

fun getTrace(fileName: String): List<String> {
    // 파일명이 file_ 로 시작하는지 확인
    require(fileName.startsWith("file_")) {
        "$fileName must start with 'file_'"
    }

    // 파일이 존재하는지 확인
    val file = DataFile(fileName)
    require(file.exists()) {
        "$fileName doesn't exists"
    }

    // 파일이 비어있는지 확인
    val lines = file.readLines()
    require(lines.isNotEmpty()) {
        "$fileName is empty"
    }

    return lines
}

fun main() {
    DataFile("file_empty.txt").writeText("")
    DataFile("file_assu.txt").writeText("assu aa bb cc")

    // Exception in thread "main" java.lang.IllegalArgumentException: wrong_name.txt must start with 'file_'
    // val result1 = getTrace("wrong_name.txt")

    // Exception in thread "main" java.lang.IllegalArgumentException: file_nonexistence.txt doesn't exists
    // val result2 = getTrace("file_nonexistence.txt")

    // Exception in thread "main" java.lang.IllegalArgumentException: file_empty.txt is empty
    // val result3 = getTrace("file_empty.txt")
  
    val result4 = getTrace("file_assu.txt")
    println(result4) // [assu aa bb cc]
}

Exception 이 발생하기 때문에 result1~3 까지 주석을 해제하면 위의 주석과 같은 오류가 난다.


2.3. requireNotNull()

requireNotNull() 은 첫 번째 인자가 null 인지 검사한 후 null 이 아니면 그 값을 돌려준다.
만일 null 이면 IllegalArgumentException 을 발생시킨다.

성공하면 requireNotNull() 의 인자는 자동으로 null 이 아닌 타입으로 스마트 캐스트된다.

requireNotNull() 은 null 가능성만 검사하기 때문에 require() 와 달리 파라메터가 한 개 뿐인 버전이 더 유용하다.

스마트 캐스트에 대한 좀 더 상세한 내용은 2.1. 스마트 캐스트: is 를 참고하세요.

fun checkNotNull(n: Int?): Int {
    // null 일 경우 직접 리턴 메시지 조작 (파라메터가 2개)
    requireNotNull(n) {
        "checkNotNull() argument cannot be null~"
    }

    // requireNotNull() 호출이 n 을 null 이 될 수 없을 값으로 스마트캐스트 해주므로
    // n 에 대해 더 이상 null 검사를 할 필요가 없음
    return n * 9
}

fun main() {
    val n: Int? = null

    // Exception in thread "main" java.lang.IllegalArgumentException: checkNotNull() argument cannot be null~
    // val result1 = checkNotNull(n)

    // null 일 경우 디폴트 메시지 사용 (파라메터가 1개)
    // Exception in thread "main" java.lang.IllegalArgumentException: Required value was null.
    // val result2 = requireNotNull(n)

    val result3 = checkNotNull(1)
    println(result3)    // 9
}

2.4. 사후 조건: check()

사후 조건은 함수의 결과를 검사한다.

함수의 결과에 대한 제약 사항을 묘사하는 경우 이를 사후 조건으로 표현하는 것이 좋다.

check()require() 와 동일하지만 IllegalStateException 을 반환한다는 차이가 있다.

일반적으로 check() 를 함수의 맨 끝에 두어서 함수 결과 (또는 함수가 반환하는 객체의 필드) 가 올바른지 검증하기 위해 사용한다.

아래는 파일에 데이터를 쓰는 함수에서 모든 실행 경로가 파일을 생성할 지 확신할 수 없다고 가정할 때 사후 조건으로 함수의 결과를 검증한다.

DataFile2.2. File, Paths 에서 만들어놓은 클래스임

val resultFile = DataFile("result.txt")

fun createResultFile(create: Boolean) {
    if (create) {
        resultFile.writeText("result\n ok")
    }

    check(resultFile.exists()) {
        "$resultFile.name doesn't exist~"
    }
}

fun main() {
    resultFile.erase()

    // Exception in thread "main" java.lang.IllegalStateException: DataFiles/result.txt.name doesn't exist~
    // val result1 = createResultFile(false)

    // DataFiles/result.txt 가 생성됨
    createResultFile(true)
}

사전 조건이 제대로 들어왔음을 검증했을 때 사후 조건이 실패한다는 건 거의 로직의 실수가 있다는 의미이다.

이런 이유로 로직이 올바르다고 확신하면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사후 조건을 주석으로 처리하거나 제거하는 경우가 많은데 미래에 코드를 변경하여 발생하는 문제를 감지할 수 있도록 그대로 두는 것이 좋다.

코드에 남겨두는 방법 중 하나는 사후 조건 검사를 단위 테스트로 옮기는 방법도 있다.


2.5. assert()

check() 문을 주석처리했다가 해제하는 수고를 덜기 위해 assert() 를 사용한다.

assert() 의 경우 검사를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할 수 있는데 기본적으로 비활성화 되어있기 때문에 명령줄 플래그로 명시적으로 활성화할 수 있다. 코틀린에서는 -ea 라는 플래그를 사용한다.

하지만 특별한 설정이 없어도 항상 사용할 수 있는 require()check() 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3. Nothing 타입: TODO()

Nothing 은 함수가 결코 반환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표현하는 반환 타입이다.

코틀린에서는 결코 성공적으로 값을 돌려주는 일이 없으므르 반환값이라는 개념 자체가 의미없는 함수가 일부 존재한다.
예) 테스트 라이브러리들은 fail() 이라는 함수를 제공하는 경우가 많은데 fail() 은 특별한 메시지가 들어있는 예외를 던져서 현재 테스트를 실패시킴
다른 예로는 무한 루프를 도는 함수는 결코 값을 반환하지 않고, 정상적으로 끝나지 않음

이런 함수를 호출하는 코드를 분석할 때 함수가 정상적으로 끝나지 않는다는 사실을 알면 유용하며, 그런 경우를 표현하기 위해 Nothing 타입을 반환 타입으로 사용한다.

항상 예외를 던지는 함수의 반환 타입이 Nothing 타입이다.

Nothing 은 아무 인스턴스도 없는 코틀린 내장 타입이다.

아래는 무한 루프를 발생시키는 함수이므로 결코 반환되지 않기 때문에 반환 타입이 Nothing 이다.

fun infinite(): Nothing {
    while (true) {
    }
}

실용적인 예시로는 내장 함수인 TODO() 가 있다.
TODO() 는 반환 타입이 Nothing 이고, 항상 NotImplementedError 를 던진다.

fun later(s: String): String = TODO("later()~")

fun later2(s: String): Int = TODO()

fun main() {
    // Exception in thread "main" kotlin.NotImplementedError: An operation is not implemented: later()~
    // later("hello")

    // Exception in thread "main" kotlin.NotImplementedError: An operation is not implemented.
    later2("hello")
}

TODO()Nothing 타입을 반환하지만 위의 later(), later2()Nothing 이 아닌 String, Int 타입을 반환한다.

Nothing 은 모든 타입과 호환 가능하다.
즉, Nothing 타입은 모든 다른 타입의 하위 타입으로 취급된다.

later(), later2() 은 앞으로 함수를 구현해야 한다는 사실을 알려주는 예외를 발생시킨다.

TODO() 는 자세한 세부 사항을 채워넣기 전에 모든 것이 맞아떨어지는지 검증하기 위해 코드를 스케치할 때 유용하다.


아래 코드에서 fail() 은 상상 예외를 던지기 때문에 반환 타입이 Nothing 이다.
fail() 을 호출하는게 명시적으로 예외를 던지는 것보다 가독성이 좋고, 간결하다.

// 항상 예외를 던지므로 반환 타입이 Nothing
fun fail(i: Int): Nothing {
    throw Exception("fail $i")
}

fun main() {
    // Exception in thread "main" java.lang.Exception: fail 1
    fail(1)
}

위와 같은 방법을 사용하면 오류 처리 시 유용하다.
예를 들어 예외 타입을 변경하거나 예외를 던지기 전 로그를 남기는 등의 처리가 가능하다.

Nothing 타입은 아무런 값도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Nothing 타입은 함수의 반환 타입이나 반환 타입으로 사용될 타입 파라메터로만 쓸 수 있다.


아래는 인자가 String 이 아니면 예외를 던지는 예시이다.

class BadData(m: String) : Exception(m)

fun checkObject(obj: Any?): String =
    if (obj is String) {
        obj
    } else {
        throw BadData("Need String, got $obj")
    }

fun testObj(checkObj: (obj1: Any?) -> String) {
    println(checkObj("abc")) // abc

    // Exception in thread "main" assu.study.kotlinme.chap06.nothingType.BadData: Need String, got null
    // println(checkObj(null))

    // Exception in thread "main" assu.study.kotlinme.chap06.nothingType.BadData: Need String, got 111
    println(checkObj(111))
}

fun main() {
    testObj(::checkObject)
}

코틀린은 throwNothing 타입으로 취급하고, Nothing 타입은 모든 타입의 하위 타입으로 취급될 수 있다.

fun checkObject(obj: Any?): String =
    if (obj is String) {
        obj
    } else {
        throw BadData("Need String, got $obj")
    }

위에서 if 문의 하나는 String 타입이고, else 문은 Nothing 타입이므로 String 으로도 취급할 수 있다.
따라서 전체 if 식은 String 타입이 된다.


위 코드에서 checkObject()안전한 캐스트 as?엘비스 연산자 ?:로 재작성할 수 있다.

class BadData2(m: String) : Exception(m)

fun failWithBadData(obj: Any?): Nothing = throw BadData2("Need String, got $obj")

// 인자를 String 으로 변환할 수 있으면 String 으로 변환한 값을 돌려주고, 아니면 예외 던짐
fun checkObject2(obj: Any?): String = (obj as? String) ?: failWithBadData(obj)

fun testObj2(checkObj: (obj1: Any?) -> String) {
    println(checkObj("abc")) // abc

    // Exception in thread "main" assu.study.kotlinme.chap06.nothingType.BadData2: Need String, got null
    // println(checkObj(null))

    // Exception in thread "main" assu.study.kotlinme.chap06.nothingType.BadData2: Need String, got 111
    println(checkObj(111))
}

fun main() {
    testObj2(::checkObject2)
}

컴파일러는 Nothing 이 반환 타입인 함수가 결코 정상적으로 종료되지 않음을 알고 그 함수를 호출하는 코드를 분석할 때 사용한다.


추가적인 타입 정보가 없는 상태로 그냥 null 이 주어지면 컴파일러가 null 이 될 수 있는 Nothing 타입으로 추론한다.

fun main() {
    val none: Nothing? = null

    var nullableString: String? = null
    nullableString = "aaa"
    nullableString = none
    println(nullableString) // null

    val nullableInt: Int? = none
    println(nullableInt) // null

    // null 값만 있는 List 로 초기화
    val listNone: List<Nothing?> = listOf(null)
    val ints: List<Int?> = listOf(null)
    println(listNone)   // [null]
    println(ints)   // [null]
}

위 코드에서 none 과 null 의 타입은 모두 Nothing? (null 이 될 수 있는 Nothing) 이므로 둘 다 nullableStringnullableInt 에 대입 가능하다.

아래에서 listNone 은 null 값만 들어있는 List 로 초기화됐다.
컴파일러는 listNone 의 타입이 List<Nothing?> 이라고 추론한다.

따라서 null 이 될 수 있는 타입이 원소인 리스트를 가리키는 변수를 null 만 들어있는 List 로 초기화하고 싶을 때에는 이런 식 (List<Nothing?>) 으로 원소의 타입을 명시해야 한다.

val listNone: List<Nothing?> = listOf(null)

참고 사이트 & 함께 보면 좋은 사이트

본 포스트는 브루스 에켈, 스베트라아 이사코바 저자의 아토믹 코틀린 과 드리트리 제메로프, 스베트라나 이사코바 저자의 Kotlin In Action 을 기반으로 스터디하며 정리한 내용들입니다.






© 2020.08. by assu10

Powered by assu10